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롤
- 까만화면
- 윈도우10
- 해당 웹페이지를 사용할 수 없음
- Tesla Motors
- 성공 명언
- 화면가림
- 바탕화면 보기 빠른 실행
- 왼쪽상단
- 유로 2016
- 윈도 8.1
- 윈도우 8.1
- 바탕화면 바로가기 빠른실행
- 윈도8.1
- 댓글 주작
- 윈도우7 바탕화면 바로가기
- 댓글 조작
- 명언
- 러블리즈
- 풀스크린 창모드
- 윈 8.1 / 윈도우8.1
- 헝가리 골키퍼
- 전기차
- 박보검
- 가보르 키랄리
- 재생창
- 격언
- 알집
- 킹크랩2
- 울릉도
Archives
- Today
- Total
HappiNess
윈도우 10,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(0x80070422) 해결 방법. 본문
윈도우 10,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(0x80070422) 해결 방법.
이걸 해결 하니
"업데이트를 컴퓨터에 적용할 수 없습니다."가 뜨는 경우가 있는데 두 가지 다 해결 하기.
<순서>
윈도우키 + R
services.msc 입력
Windows Update 더블클릭
시작유형: 자동
컴퓨터 다시시작: 전원 "다시 시작" 클릭 (주의: "시스템 종료" 눌러서 다시 시작하는 것 아님 (윈도우 10부터는 "다시 시작" 눌러줘야 함)
해결 완료!
간혹 업데이트 다운로드 및 설치에서
업데이트를 설치하는 중에서 멈춰있는 것처럼 엄청 오래 걸리기도 하지만 몇 시간 놔두니 업데이트가 완료됨.
멈춘 것이 아니라 기다리면 되는 것이었음.
"업데이트를 컴퓨터에 적용할 수 없습니다."
가 그래도 뜨는 경우
*원본 사이트:
참조
작업 방법 1. 업데이트 임시 저장소 제거
- Windows 로고 키 + R 키 를 누른 후 실행창이 열리면services.msc를 입력하고 확인을 누릅니다.
- 서비스 창에서 아래의 서비스 항목들을 각각 더블 클릭하여 중지 버튼을 눌러 서비스 상태를 중지 하고,적용 및 확인을 누릅니다.
Background Intelligent Transfer Service
Cryptographic Services
Windows Updates - C:\Windows로 이동하여SoftwareDistribution폴더를 삭제합니다.
- C:\Windows\System32로 이동하여catroot2폴더를 삭제합니다.
- 서비스 창에서 중지한 서비스 세 가지를 더블 클릭 후, 각각 시작 버튼을 눌러 서비스를 시작 합니다.
작업 방법 2. Windows 구성 요소 저장소에서 파일 손상 여부 확인
- Windows 로고 키 + X키를 누른 후 명령프롬프트(관리자)를 클릭합니다.
- 명령 프롬프트에서 sfc /scannow 명령을 입력한 후Enter키를 누릅니다.
- 시스템 검사가 완료되면 명령 프롬프트에 Dism /online /cleanup-image /restorehealth 명령을 입력하고Enter키를 누릅니다.
* PC 환경에 따라 시스템 검사 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습니다. (20분이상 ) - 검사가 완료 되면 컴퓨터를 다시 시작하여 문제점을 확인 합니다.
그런데 catroot2 폴더 삭제 시에 작업 중이라 그러면서 자꾸 삭제가 안 될 때가 있었다.
이때는 Cryptographic Services 이놈이 그 사이에 다시 자동으로 시작 된 경우 였는데
이놈을 중지하자 마자 catroot2를 바로 삭제하니 삭제가 되었다.
(나는 이놈들을 삭제했지만 그래도 혹시 몰라서 다른 곳에 다른 이름으로 백업을 해두었었다. "~~-기존것" 이렇게)
'IT, Computer et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81215 다운받은 egg 파일 오류 - 의외의 요인. 사용 웹브라우저 점검 해 볼것. (0) | 2018.12.15 |
---|---|
171204 프레임 레이트 저하 현상이 메인보드 문제일 수도 있다. (해결) (0) | 2017.12.04 |
레노버 노트북 Fn키 설정 (핫키를 F1, F2 등으로 설정하기) (0) | 2016.08.11 |
레노버 노트북 바이오스 진입하기, win7용 드라이버 설치 등 (0) | 2016.08.11 |
안드로이드 포켓몬 고 pokemongo 설치 방법 및 튜토리얼 후기 (0) | 2016.07.14 |
Comments